by credloc | 12월 30, 2018 | Language Localization
용어집, 텀베이스와 함께 각 목적언어 별 스타일 가이드를 사전에 작성해 두면 중도에 번역업체를 교체하더라도 비교적 일관된 목적언어 문체를 구현해 낼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제약업체 등과 같이 여러 나라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문서자료를 관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스타일 가이드의 분량이 수십페이지에 이르기도 하나, 간헐적으로 번역업무 수요가 발생하는 기업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 스타일 가이드만을 작성해 두어도 번역물의 품질을 일관되게 관리하는데 큰...
by credloc | 12월 16, 2018 | Language Localization
텍스트 인식이 되지 않는 이미지 기반 파일, 비 워드프로세서 서식의 파일을 원본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번역하기 위해서는 DTP 디자이너가 번역 업무단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번역가에게 문서 편집작업이 전가되어서는 절대 안됩니다. 산업번역에서 흔히 발생하는 DTP 대상 문서의 유형과, 그와 같은 문서를 원활하게 번역하기 위한 공정을 아래와 같이 소개합니다. 이미지로만 이루어진 텍스트 파일 1. 이미지 파일의 해상도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개선하여 가급적 텍스트의 경계가 명확해지도록...
by credloc | 12월 16, 2018 | Language Localization
하이-볼륨 트랜스레이션 프로젝트 등 번역 / 감수 / 교정 업무에 여러 명의 번역가를 투입함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비효율이 있으며, 복수의 번역가를 투입할 때에는 이러한 비효율을 뛰어넘는 공정상의 이득이 반드시 확보되어야만 여러 번역가를 투입하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복수의 번역가를 투입하여야 할 때, 최적의 업무 효율을 실현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용어 관리 복수의 번역가가 문서 전반에 걸쳐 공통적으로 사용할...
by credloc | 12월 13, 2018 | Language Localization
크리덴셜 영상번역, 비디오 로컬라이제이션 서비스 크리덴셜 영상번역 서비스 견적 원리 영상 번역을 시행한 마케팅 트랜스레이션 자료가 문서 그대로의 형태로 쓰이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의 자료는 영상에 이식되어 웹사이트 퍼블리싱, 유튜브 업로드 또는 현장 재생 등 목적으로 2차 가공되어 활용됩니다. 로컬라이제이션 업체에서 전문적인 오디오비주얼 서비스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경우, 고객사는 외주 단계를 줄임으로써 공정상의 정확성을 제고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엔지니어와...
by credloc | 11월 26, 2018 | Language Localization
의료기기 등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번역 프로젝트에서, 고객사에서 기존에 관리해 오던 용어집을 번역가가 일관적으로, 문맥에 맞게 적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텀베이스. 기존의 번역업체에서 성실하게 텀베이스를 관리해 주는 경우도 있지만, 국내 업계 실정 상 번역을 의뢰하는 고객사에서는 번역할 문서의 용어 관리를 위해 과거에 번역했었던 소스/타겟문서를 번역회사에 “참고자료”(reference)라는 이름으로 넘겨주고, 번역회사에서 이를 완벽하게 반영하기를 막연하게 기대하는 단발적인 방식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