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가가 오로지 정규 번역업무공정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번역회사 내 보이지 않는 곳에서 업무하는 링귀스틱 엔지니어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정교하고 전문적인 원본문서 분석을 통해 정확한 번역 서비스 예상 소요시간 (리드타임) 예측
번역 서비스가 이루어 질 원본 문서의 어떤 부분에서 중복부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지, 유사구문은 얼마나 등장하는지 등을 사전에 분석, 번역가가 공정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주간 업무 스케줄을 계획적으로 짤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은 번역회사 내에서 언어 엔지니어가 수행하는 가장 간단하면서도 중요한 역할입니다.
편집 불가능한 문서를 편집 가능하도록 변환
번역이 의뢰된 스캔 문서를 편집 가능하게 변환하지 않은 상태에서 번역가가 육안으로 보고 번역하게 되면 용어 일관성이 크게 저하됨은 물론, 번역 업무가 이루어지는 과정 중에 고객자산인 번역 메모리(TM)를 남길 수 없어 큰 손실이 발생합니다.
스캔된 PDF문서, 그래픽 내 텍스트 부분 등 번역이 필요하지만 편집이 불가능한 문서를,
노련한 링귀스틱 엔지니어는 편집 가능상태로 변환함으로써 번역회사의 번역실 내에서 분투하는 번역가의 일손을 덜어줍니다.
번역 메모리 (TM) 생성
매년 개정하는 사용자 매뉴얼의 번역을 금년도에는 다른 번역업체에 의뢰하려고 할 때,
과거에 번역했던 내용을 준용하여 신규 문서에 대한 번역 서비스를 의뢰하고자 할 때…
이전의 번역가가 사용하였던 문체와 용어를 새로운 번역가가 그대로 차용할 수 있도록,
번역회사의 링귀스틱 엔지니어는 고객사로부터 과거의 원본문서와 번역물을 수령하여 번역 메모리(TM)를 생성합니다.
(만일 고객사 측에서 기존에 TM을 자체적으로 관리하고 있었다면, 고객사로부터 이를 수령하여 자사의 번역가에 전달 합니다.)
새로운 번역가는 위와 같이 생성된 TM을 바탕으로 의뢰 받은 문서의 번역을 진행하여 과거 문서와의 일관성을 꾀함은 물론,
자신이 번역해 나가는 내용을 TM으로 남겨 고객 요청에 따라 언제든 제공할 수 있도록 관리 합니다.